전기상식모음/전기일반상식

접지의 종류와 접지저항계산

기쁘리 2009. 6. 27. 12:15

 

img1.gif

img3.gif

 

 

화학저감제 접지

접지저항은 대지저항률의 대소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접지공사지점의 토양의 화학적 처리를 시행하여 대지저항률을 낮추어서 접지저항을 감소한다.

이와같이 화학적 처리를 하는 것이 접지저감제이다.

저감제로서는 합류된 화학성분에 따라서 여러 가지가 개발되고 있다. 

1. 저감제 접지 특성

접지저항을 낮추기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 접지 전극 주위에 토양을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대지저항률을

낮추는 방법이 있는데, 전극부근에 소금물을 뿌리거나, 목탄분말을 채우는 방법은 옛부터 많이 사용하

여 왔다.

이것은 접지전극을 유사접지도체로 본다는 것과 대지저항률을 인위적으로 작게 한다는 관점에서 출발

하고 있다.

접지저항은 대지저항률과 전극모양과 크기의 함수이며 대지저항률을 작게 하거나 전극의 크기를 크게

하면 접지저항은 감소한다.

유사접지도체란 전극의 겉보기 반지름을 더한 상태를 말하며, 토양에 저감제(소금물)을 주입한다는 것

은 대지저항률을 작게 한다는 것을 뜻하고 있다.

접지 저감제의 종류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화학성분의 저감제와 자연에서 추출한 천연성분의 저감제가

있다.

접지저항을 낮추는 대표적인 저감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수분 공급에 의한 접지 저항 저감

 염분에 의한 접지저항 저감

 목탄에 의한 접지 저항 저감

 광물 성분에 의한 접지 저항 저감

 토질 개량 화학 처리에 의한 접지 저항 저감

 도전성 콘크리트에 의한 접지저항 저감

 자연 추출물에 의한 접지저항 저감

저감제로 사용되는 물질은 자연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공해 물질을 배출해서는 안 된다.

또한 접지 전극을 부식시켜 접지 성능을 악화시키거나 손상시켜서도 안되며, 또한 대지에 스며들어 효

과가 사라지는  소모성 물질(소금물)이어서도 안되며 사용이 쉽고 경제적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목탄은 접지 전극을 손상시켜 성능악화는 물론 접지선을 단선시킬 수도 있으며,

소금과 같은 재료는 대지로 스며들어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저감제는 다음과 같은 조건

을 갖추어야 한다.

안전할 것

접지저항은 화학적 처리를 한 것이기 때문에 사람과 가축, 식물에 대한 안전성이 염려되는데 토양을

오염시켜 생명체에 유해한 것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원래 토양의 오염원인이 되는 물질에는 카드뮴이나 동으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그 물질이 토양에 함유

된 경우에 확산,분해되지 않고 장기간 잔류해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있다.

전기적으로 양호한 도체일 것

저감제는 주위의 토양에 비해 저항률이 작다. 즉 도전도가 좋아야 한다.

접지저항 저감제로서 필요한 첫째 성분은 물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또 이것을 쉽사리 빠지게 하지 않는

성분을 말한다.

이러한 재료를 체류제라 부르는데 체류제로 실제 쓰이고 있는 것에는 적토 및 벤토나이트(팽윤성이

풍부한 점토의 일종)가 있으며 이 재료가 물을 함유했을 때의 저항률은 대략 10[Ω·m]  정도로 소위 고

저항률 지대 10³[Ω·m]이상 저항률의 1/100정도이다.

따라서 이들 두 가지 재료는 이것만으로도 그 나름대로의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것에 전해액을

혼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지속성이 있을 것

접지전극에 저감제 처리를 한 경우 그 직후는 접지저항이 크게 감소하여 처리전보다 수십[%] 낮은 접

지저항이 지속된다.

이것은 저감제가 완벽하게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저감제가 토양속에서 그 성분에이 흩어지거나 해서 효과가 감소되는 경우도 있다.

접지 전극을 부식 시키지 않을 것

접지전극이 저감제로 처리된 경우의 부식은 일반적인 토양 속에서의 부식과는 다음과 같이 그 양상이

다르다.

- 보통의 토양은 그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장소에 따라 현저하게 다르나 저감제인 경우 비교적 균질하

   게 유지되어 이것은 부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 보통의 토양은 통기성이 있어 공기 중의 산소가 전극표면에 닿아 부식을 촉진하는데 저감제 처리를

   한 경우나 겔(gel)의 존재로 통기성이 나쁘기 때문에 부식의 진행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 저감제 겔 속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에 의해 복극작용, 부동태피막의 파괴가 일어나 부식이 촉진된다.

작업성이 좋을 것

경제적일 것

저감제는 토양에 화학적 처리를 하는 것이므로 토양을 오염이나 환경의 유해성 검토와  사람과 가축,

식물에 대한 안전성의 검토는 필수적이다.

현재는 여러 결점들을 보완한 자연추출의 천연성분 저감제나 혹은 안전하고 뛰어난 성능의 저감제들

이 개발되어 있다.

 

2. 저감제 접지의 구조 및 시공 방법

1) 저감제 접지의 구조

저감제를 이용한 접지의 구조는 접지 전극 주위에 저감제를 첨가함으로 유사 접지 전극을 만드는 것

이다.

저감제를 이용하여 접지 전극 주위의 토양을 양호한 전도성을 지닌 대지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그림 1)은 접지 전극에 대한 접지 저감제의 첨가하여 구성한 유사접지 전극을 나타낸다.

img1484.gif           img1485.gif

                           (그림 1) 접지 저감제 처리 형태

(그림 1)에서와 같이 접지 저감제를 이용한 접지형태는 접지전극과 함께 직접 넣는 경우와 접지 전극

주위에 살포하여저감 효과를 얻는 형태가 있다.

이러한 저감제 처리 방법은 크게 유입법과 체류조법 두 가지로 대별된다

 

2) 저감제 접지의 시공 방법

접지 저감제 시공 방법으로 먼저 유입법을 살펴본다.

(그림 2)은 여러 가지 유입법의 형태를 나타낸다.

img1486.gif

       (a) 타입법                 (b) 보링법                 (c)수반법                   (d) 구법    

(그림 2) 저감제 유입법

타입법은 접지 전극을 타입할 구멍에 저감제를 유입하는 방법으로 전극의 틈새로 저감제를 주입한다.

보링법은 지반을 천공하여 선 혹은 띠 전극을 설치하고 그 속에 저감제를 타입한다.

수반법은 접지 전극 주위 대지에 저감제를 뿌려 저감 효과를 얻는 방법이다.

구법은 접지 전극 주위에 여러 홈을 파서 그 속에 저감제를 유입시켜 저감하는 방법이다. 

다음은 체류조법을 알아본다.

체류조법은 (그림 3)과 같은 형태를 나타내며, 저감제를 접지 전극 위에 얇게 도포하는 형태이다.

img1487.gif

       (a) 매설 지선용                (b) 판 접지 전극용

               (그림 3) 접지 저감제의 체류조법

 

매설 지선용 체류조법은 접지 매설 지선에 저감제를 도포하고 되메우기를 하는 방법으로 매설 지선

의 접지저항을 저감하여 효과를 얻는다.

판 접지 전극용은 동판과 같은 접지 전극과 저감제를 함께 넣어 시공하는 방법이다.

이상과 같이 저감제는  토양의 지질, 구조 그리고 작업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시공 방법이 있다.

 

3) 저감제 시공지침

① 저감제는 소규모 접지극의 접지저항 및 위험전압 저감측면과 접지봉(심매설전극 포함) 포설시

  같이시공하여 접지저항 저감효과 극대화를 위하여 포설함을 원칙으로 한다.

② 접지망 외곽 또는 접지봉(심매설전극 포함) 주변에 포설한다. 

 

3. 저감제 접지 저항 계산

저감제의 저감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한 처리 모델로써 반구상의 전극 혹은 타원체 상의 전극을 사용

한다

저감제가 영향을 미치는 범위를 유효 반경으로 설정하여 다룬다.

 

(그림 4)는 접지 저감제 효과 처리 모델을 나타낸다.

img1488.gif                  img1489.gif

            (a) 접지 전극                          (b) 저감제에 의한 유사 접지 전극

                           (그림 4) 저감 효과 처리 모델

(그림 4)에서 알 수 있듯이 반지름 r1 의 반구상 접지 전극이 2개의 다른 대지저항률 ρ1, ρ2 의 반구로

쌓여 있다.

각 경계층 속의 특성은 같으며, 이 경계는 전극반구와 외부 동심 반구가 된다.

ρ2는 원래 토양의 전체의 대지 저항률이고, ρ1 은 저감제로 처리된 지역내의 대지저항률로 접지 전극

반지름 r1 과 경계 반지름 r2 사이 부분이 된다.

먼저 접지전극의 접지저항을 계산한다.

접지저항 R1은 접지전극 r1에서 무한 원점(∞) 까지의 합성 저항이므로 다음식으로 표현된다. 

  img1490.gif

 단, ρ2= 대지저항률, r1= 접지 전극의 반지름, x= 이격 거리

 

화학 저감 처리된 접지전극 전체의 합성저항 R2 는 접지저항 R1의 전극 r1에서 r2까지의 접지저항과

r2에서 무한 원점(∞)까지의 저항의 합이 되며, 저감제에 의한 합성 저항 R2는 다음 식과 같다.

 

   img1491.gif

  단, ρ1 = 저감 처리된 대지저항률, ρ2 = 대지저항률, r1 =  접지 전극의 반지름,

       r2= 저감제 처리 전극의 반지름

 

위에서 화학 저감 처리하지 않은 접지 저항은 R1 이 되고, 화학 저감 처리한 접지 저항은 R2가 된다.

이처런 저감제를 이용하여 접지전극 주위의 대지 저항률을 강제적으로 낮춤으로써 접지 저항을 감소

시킬 수 있다.

 

 

  목차


 ball01d.gif 접지의 이론


     1 접지개요


     2 용어의 정의


     3 접지의 목적


     4 접지의 종류와 접지 저항


     5 제1종 접지선 굵기


     6 제2종 접지선 굵기


     7 특3,3종접지선굵기


     8 접지선의 최소굵기


     9 시설장소에 따른 접지공사


   10 기계기구의 구분에 따른 접지공사의적용


   11 접지공사의 종류


   12 접지종류별 특성비교


   13 전력접지 공사표


   14 통신접지 공사표


ball01d.gif 공사별접지 공사방법


ball01d.gif 접지의 유지관리

 

 

 

접지 개요

 

1.접지 개요.

 

  전기사용 시설물에서 접지는 가장 기본적인 안전장치이다. 안전장치인 접지시설

이 부적합 하면 인명의 감전사고나  전자장비의 파손 및 오동작의 주원인이 됩니

다. 인명사고 방지 및 고가의 장비 보호와 오동작 방지를 위한 완벽한 접지시설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접지시설은 준공검사를 위한 시설이 아니라 안전을 위한 시설이므로 설계에서 시공 및 관리까지 완벽해야 합니다.

2. 접지의 중요성.

접지시설이 부적합 할 때 문제 발생 내용.

① 과부하나 장비 및 기계의 문제발생시에 전기 차단기가  정확한 동작을 하지못해 화재나  장비의 파손을 막지 못 하고 손해를 입습니다.

② 장비로 부터 누전이 될 때 누전차단기가 정격동작을 하지못해 인체에 감전사고를 일으키고(특히 습도가 많은 우천시에는 아주 위험함)

③ 여름철의 낙뢰로인한 서지전압(수억-수십억[V]) 발생시 화재, 장비파손 및 인명사고를 일으킬수  있습니다.

 

용어의 정의

접지공사란 전기기기, 금속관 등 접지해야 할 것과 대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공사이다.
접지공사의 목적은 인축의 보호, 전기시설 또는 건조물에의 장해,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접지전극: 전기를 이용한 컴퓨터,전자장비,계측장비,기계설비를 전기적으로 대지와  접속을 위한  단자를 말한다.
접지저항: 접지전극과 대지 사이의 전기적 접촉저항을 말한다. 접촉저항은 A와B 두물체를 전기적 으로 연결(접속) 할 때 접촉 저항이다.  

지락전류,Noise전류,유도전류,서지전류등이 발생시 접지저항(접지전극의저항)으로 인한 전위상 승으로 시스템에 장애를 일으키고 심하면 인명사고나 장비가 파손된다.


접지의 목적

(전기공사설계실무데이터북 14-1)

구 분

목                           적

전기설비의 보안용 접지

전기설비에 있어서 전로나 비충전금속부분을 접지하는 것에 의해 감전이나 화재를 방지한다.

뇌해방지용 접지

피뢰침이나 피뢰기의 접지로 뇌방전전류를 안전하게 대지로흘려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전기장해방지용 접지

정전기를 안전하게 대지로 방류하기 위한 접지

잡음방지용 접지

통신설비 등에 있어서 잡음에너지를 대지에 방류하기 위한 접지

기능용 접지

전자계산기 등에 있어서 전위의 안정된 기준을 얻기 위한 접지

회로용 접지

전기방식에서 대지를 회로의 일부로서 이용하기 위한 접지

   

접지의 종류와 접지저항(전기설비기술 기준)

(내선규정140-1 표1-14)

접지공사의 종류

적 용

접 지 저 항

제1종 접지공사

고압 및 특고압의 전기기기의 철대, 외함 등의 접지

10Ω 이하

제2종 접지공사

고압 및 특고압전로와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의 중성점 또는 단자 등의 접지

변압기의 고압측 또는 특별고압측 전로의 1선지락전류의 암페어수로 150을 나눈값과 같은 Ω수

제3종 접지공사

300V 이하의 저압의 전기기계기구의 철대, 외함 등의 접지

100Ω 이하

특별3종 접지공사

300V 초과의 저압의 전기기계기구의 철대, 외함 등의 접지

10Ω 이하

특별3종 접지공사

300V 초과의 저압의 전기기계기구의 철대, 외함 등의 접지10Ω 이하

비 고) 1. 제2종접지공사에서 변압기의 고압측 전로 또는 사용전압이 35,000V 이하의 특별고압측  전로가 저압측 전로와 혼촉하여 저압측 전로의 대지전압이 150V를 넘는 경우에, 1초를  넘고 2초이내에 자동적으로 고압전로 또는 사용전압이 35,000V 이하의 특별고압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할 때의 접지저항치는 1선 지락전류의 암페어수로 300을 나눈 값과  같은 Ω수 이하로 하고, 1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고압전로 또는 사용전압 35,000V 이하의  특별고압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할 때의 접지저항치는 1선 지락전류의 암페어 수로  600을 나눈 값과 같은 Ω수로 한다.

         2. 저압전로에서 그 전로에 지기가 생겼을 경우에 0.5초이내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이 표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제3종 및 특별3종접지공사의 접지  저항치는 자동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에 따라 다음표에서 정한 값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 격 감 도 전 류

접 지 저 항 치

30 mA

500 Ω

50 mA

300 Ω

100 mA

150 Ω

200 mA

75 Ω

300 mA

50 Ω

500 mA

30 Ω

 

제1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의 굵기

(내선규정 140-3 표1-17, P100)

제1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의 구조

접지선의 종류

접지선의 굵기

알루미늄

고정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에 접지공사를하는 경우 및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에 접지공사를 하는경우에 가요성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경우

2.6mm이상

(5.5㎟이상)

3.2mm이상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에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로서 가요성을 필요로 하는 부분

3종클로로프렌 캡타이어 케이블, 3종클로로폰화폴리에틸렌 캡타이어케이블, 4종 클로로프렌 캡타이어 케이블, 4종 클로로폰화 폴리에틸렌 캡타이어케이블 또는 고압용의 캡타이어케이블의 1심 또는 다심 캡타이어케이블이나 고압용의 캡타이어케이블 또는 고압용의 캡타이어케이블의 차폐금속체 또는 접지용금속선

8㎟이상

비 고) 이 표는 비접지식 고압전로에 전기기계기구를 접속하는 경우의 최저기준을 표시한다.

 

  제2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의 굵기

(내선규정 140-5 표1-18)

변압기 1상분 용량

접지선의 굵기

110V

220V

380V

동 선

알루미늄

5.5kVA까지

11.0kVA까지

19.0kVA까지

5.5㎟ 이상

8㎟ 이상

11.0kVA까지

22.0kVA까지

38.0kVA까지

8㎟ 이상

14㎟ 이상

22.0kVA까지

44.0kVA까지

76.0kVA까지

14㎟ 이상

22㎟ 이상

44.0kVA까지

82.5kVA까지

152.0kVA까지

22㎟ 이상

38㎟ 이상

66.0kVA까지

137.5kVA까지

228.0kVA까지

38㎟ 이상

60㎟ 이상

82.5kVA까지

165.0kVA까지

285.0kVA까지

50㎟ 이상

80㎟ 이상

110.0kVA까지

220.0kVA까지

380.0kVA까지

60㎟ 이상

100㎟ 이상

137.5kVA까지

275.0kVA까지

475.0kVA까지

80㎟ 이상

125㎟ 이상

비 고) 1. 이 표의 수치에 대한 검토는 표3과 같이 한다.

         2. "변압기 1상분의 용량"이라함은 다음의 값을 말한다.

          (1) 삼상변압기의 경우는 정격용량의 1/3을 말한다.

          (2) 같은용량의 단상변압기 3대로서 Δ결선 또는 Υ결선하는 경우에는 단상변압기 1대의 정격용량을 말한다.

          (3) 단상변압기 V결선의 경우

             가. 같은 용량의 단상변압기 2대로 V결선하는 경우에는 단상 변압기 1대의 정격용량을 말한다.

             나. 다른 용량의 단상변압기 2대로 V결선하는 경우에는 큰 용량의 단상변압기 정격용량 을 말한다.

        3. 변압기가 2뱅크 이상으로 병열연결되어 저압측이 1대의 변압기로 보호되는 경우는 각 뱅크에 대한 상기 2항의 용량의 합계치로 한다.

        4. 저압측이 다선식인 경우에는 그 사용전압중 최대전압을 적용한다.

            예:단상3선식 220/380V와 같은 경우에는 380V급을 사용한다.

 

제3종 또는 특별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선 굵기

(내선규정 140-3 표1-16, P99)

접지하는 기계기구의 금속제외함, 배관등의 저압전로 전원측에 시설되는 과전류차단기중 최소의 정격전류 용량

 

접 지 선 의 굵 기

일 반 의 경 우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기계기구에 접지를 하여야 할 경우로서 가요 성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코드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알루미늄

단선의 굵기

2심을 접지선으로

사용하는 경우 1

심의 굵기

20A 이하

1.6mm이상 2㎟이상

2.6mm이상

1.25mm이상

0.75mm이상

30A 이하

1.6mm이상 2㎟이상

2.6mm이상

2mm이상

1.25mm이상

50A 이하

2.0mm이상 3.5㎟이상

2.6mm이상

3.5mm이상

2mm이상

100A 이하

2.6mm이상 5.5㎟이상

3.2mm이상

5.5mm이상

3.5mm이상

150A 이하

8㎟이상

14㎟이상

8㎟이상

5.5mm이상

200A 이하

14㎟이상

22㎟이상

14㎟이상

5.5mm이상

400A 이하

22㎟이상

38㎟이상

22㎟이상

14㎟이상

600A 이하

38㎟이상

60㎟이상

38㎟이상

22㎟이상

800A 이하

60㎟이상

80㎟이상

50㎟이상

30㎟이상

1,000A 이하

60㎟이상

100㎟이상

60㎟이상

30㎟이상

1,200A 이하

100㎟이상

125㎟이상

80㎟이상

38㎟이상

 

접지선의 최소굵기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2조)

접지공사의 종류

접 지 선 의 굵 기

제1종 접지공사

지름 2.6mm 이상

제2종 접지공사

지름 4mm(고압 또는 중성점 다중접지방식의 특별고압 가공전선로의 전로와 저압전로를 변압기에 의하여 결합하는 경우에는 지름 2.6mm)이상

제3종 접지공사

지름 1.6mm 이상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지름 1.6mm 이상

 비 고) 1. 이 표에서의 접지선은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세기 및 굵기로서 쉽게 부식하지  않는 금속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2. 이 표는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2조를 근거한 것이다.

 

시설장소에 따른 접지공사

(내선규정 140-1 부록1-4)

접지공사의 종류

내       용

전기설비

기술기준

 

 

 

 

 

 

 

 

제 1 종

접지공사

1) 변압기로 특별고압전선로에 결합되는 고압전로의 방전장치

28

2) 특별고압 계기용 변압기의 2차측전로

29

3) 고압용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외함

36

4) 고압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 및 방출보호통 기타 피뢰기에 대용
    하는 장치

46

5) 고압옥측전선로의 시설로 관 기타의 케이블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
    속제 부분, 금속제전선접속함 및 케이블의 피복에 대용하는 금속체

109

6) 특별고압가공전선이 가공약전류전선 등과 근접 또는 교차시의 보
    호망

143

7) 고압옥외배선에 사용하는 관 기타의 케이블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
    속제 부분, 금속제전선접속함 및 케이블의 피복에 대용하는 금속체

229

8) 방전등용 안정기의 외함 및 방전등용 전등기구의 금속제부분(관등
    회로의 사용전압이 고압이고 또한 방전등용 변압기의 2차단락전류
    또는 관등회로의 동작전류가 1A가 넘는 경우)

233

9)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관등회로의 사용전압이 1000V를 넘는
    방전등

245

10) 전극식온천용승온기 차단장치의 전극

258

11) 풀장용 수중조명등 등에 사용하는 절연변압기의 1차 권선과 2차
      권선과의 사이에 시설하는 금속제의 혼촉방지판

261

12) 고압의 표피전류가열장치에 사용하는 발열관(박스를 포함한다)

256

 

 

제 2 종

접지공사

1) 고압전로과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의 저압측의 중성점 또는 1
    단자(사용전압이 300V이하의 경우이고 당해 접지공사를 변압기의 
    중성점에 시설하기 어려울 때)

26

2) 고압전로와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로 고압권선과 저압권선
    과의 사이에 시설하는 금속제의 혼촉방지판

27

3) 다심형전선을 사용하는 경우의 중성점 또는 접지측전선용으로서, 
    절연물로 피복하지 아니한 도체

81

 

 

 

 

 

 

 

 

 

 

 

 

 

 

 

제 3 종

접지공사

1) 고압계기용 변압기의 2차측전로

29

2) 400V 미만의 저압용 기계기구의 철대 또는 금속제외함

36

3) 저압가공전선 또는 고압가공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고, 이것을 조
    가하는 경우의 멧샌져와이어 및 케이블의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관

80

4) 다심형전선을 사용하는 경우의 멧센져와이어용으로서 절연물로 피
    복하지 아니한 도체

81

5) 고압가공전선이 교류전차선 등의 위에서 교차하여 시설될 경우의
    고압 가공전선로의 완철류

95

6) 보호망

280

7) 보호관

281

8) 관, 암거 기타 지중전선을 넣는 보호장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의
    전선접속함 및 지중전선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154

9) 터널내에 고압전선로를 시설하는 경우, 케이블을 사용할 때 방호장
    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전선접속함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158,159,

160

10) 고주파전류 의한 장해방지를 위하여 시설하는 콘덴서 및 네온점멸
      기의 고주파발생방지장치 접속단자의 접지측단자

193

11) 400V 미만의 합성수지관공사에 사용하는 풀박스 또는 분진방폭형
      플렉시블 휘팅

203

12) 400V 미만의 금속관배선에 사용하는 관

204

13) 금속몰드배선에 사용하는 몰드

205

14) 400V 미만의 금속제가요전선관배선에 사용하는 금속제가요전선관

206

15) 400V 미만의 금속덕트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207

16) 400V 미만의 버스덕트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208

17) 플로어덕트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210

18) 400V 미만의 케이블배선에 사용하는 관 기타의 전선을 넣는 방호
      장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전선접속함 및 전선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213

 

19) 방전등용안정기의 외함 및 방전등용 전등기구의 금속제부분(제1
      종접기공사, 특별제3종접지공사의 조건이외의 경우)

233

 

20) 400V 이상, 1000V 이하의 전등회로의 배선으로 다음에 해당하는
      것

 가. 합성수지관배선에 의한 경우의 풀박스 또는 분진방폭형 플레시블
      휘팅

 나. 금속관배선에 의한 경우의 금속관 및 금속제의 전선접속함.

 다. 금속몰드배선에 의한 경우의 금속몰드 및 금속제의 전선접속함

 라. 금속제가용전선관배선에 의한 경우의 금속제 가요전선관 및 금속
      제의 전선접속함.

 마. 케이블배선에 의한 경우의 관 기타 케이블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
      속제부분, 금속제 전선접속함, 랙크 등 지지물의 금속체부분, 케
      이블을 조가할 경우의 멧션져와이어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234

21) 에스컬레이터내의 관등회로 배선으로 전선과 접촉하는 금속제의
      조영재

234

22) 네온변압기를 넣는 외함의 금속제부분

235

22) 네온변압기를 넣는 외함의 금속제부분

235

23)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관등회로로서 사용전압 1000v이하의
      방전등

245

24) 교통신호등 제어장치의 금속제외함.

254

25) 발열선 또는 발열선과 직접 접속하는 전선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
      속체 및 방호장치

255
256

26) 전열보드의 금속제외함 또는 전열시트의 금속제피복

255

27) 전극식온천용승온기에 사용하는 절연변압기의 철심 및 금속제
     외함.

258

28) 전기욕기에 사용하는 절연변압기의 철심 및 금속제외함

259

29) 전기방충용전원장치를 넣는 금속제의 외함

263

30) 아크용접장치의 피용접재 또는 이것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구, 정반 등의 금속체

267

31) 엑스선발생장치의 변압기 및 콘덴서의 금속제외함

268

32) 엑스선관도선의 노출하는 퉁전부분에 1m이내로 접근하는 금속체

268

33) 라이팅덕트 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209

34) 표피전류가열장치에 사용하는 발열관(박스를 포함한다.)

256

 

 

 

 

 

 

 

 

 

 

 

 

 

 

 

 

특   별

제 3 종

접지공사

1) 400V 이상의 저압용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외함

36

2) 400V 이상의 합성수지관배선에 사용하는 풀박스 또는 분진방폭형
    플렉시블 휘팅*

203

3) 400V 이상의 금속관배선에 사용하는 관*

204

4) 400V 이상의 금속제가요전선관배선에 사용하는 금속제가요전선관*

206

5) 400V 이상의 금속덕트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207

6) 400V 이상의 버스덕트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208

7) 400V 이상의 케이블배선에 사용하는 관 기타전선을 넣는 방호장
   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전선접속함, 랙크등 지지물의 금속제부분,
   케이블을 조가할 경우의 조가용선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
   속체

213

8) 방전등용안정기의 외함 및 방전등용전등기구의 금속제부분 (관등
    회로의 사용전압이 400V 이상의 저압이고 또한 방전등용변압기의
    2차단락전류 또는 관등회로의 동작전류가 1A를 넘는경우)

233

9)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관등회로의 사용전압이 1,000V 이
    하의 방전등

245

10) 풀용 수중조명등에 사용하는 자동차단장치 등을 넣는 금속제의
      외함

261

11) 풀장용 수중조명등을 넣는 용기 및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

261

12) 400V 이상의 저압의 발열선 또는 발열선과 직접접속하는 전선피
      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및 방호방치*

256

13) 400V 이상의 저압의 직접가열장치에 사용하는 발열체의 단열재의
      금속제외피 및 절연물을 중간에 둔 금속제 비충전부분*

256

14) 400V 이상의 저압의 표피전류가열장치에 사용하는 발열관(박스를
      포함한다)*

 비  고 1. *표는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할 수 있다.
 비  고 2. 접지공사 그 자체는 규제되어 있지 아니하나 소정의 접지공
              사를 할 경우에 시공방법이 완화되는 것으로는 다음의 것이
               있다.

   (1) 고압용 기계기구를 금속제의 함에 넣는 경우

   (2) 저고압가공전선과 삭도(케이블카 등)등의 근접 또는 교차

   (3) 저고압가공전선과 굴둑 등이 접촉될 우려가 있는 경우

   (4) 저고압옥내배선과 약전류전선의 접근 또는 교차

   (5)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트롤리선의 공사

   (6) 전극식온천용승온기의 시설

   (7) 전기집진장치의 시설

256

 

 

 

 

40

92

101

215

226

258

266

 

 

기계기구의 구분에 따른 접지공사의 적용

(내선규정 140-2 표1-15)

기 계 기 구 의 구 분

접 지 공 사

400V 미만의 저압용

제 3 종 접 지 공 사

400V 이상의 저압용

특 별 제 3 종 접 지 공 사

고압용 또는 특별고압용

제 1 종 접 지 공 사

 

접지 공사의 종류    

접지 설치의 수명은 ?

구리연선(단면적14SQ,1.6mm 7가닥 꼬음)자연 침식에 의한 경년변화

매설 년수 (년)

사이즈 변화(mm)

계산 단면적(SQ)

10

7/1.44

11.4

20

7/1.28

9.0

30

7/1.12

6.9

40

7/0.96

5.1

동의 부식당량 : 1.0931(g/A.s) 강철의 부식당량: 1.2366(g/A.s)
1980년 이전 시설한 접지는 접지극에 연결한 전선 및 접속부의 부식정도를 점검 요함.

접지인하 도선 및 접지극에는 접지전류의 방출로 부식이 진행되기 때문에 매년 정기 점검으로 확
실한 접지저항을 유지하여, 접지도선 및 접지시스템의 전위상승을 억제하여 시스템 및 인명사고를
방지 해야한다.
중요한 것은 설계에서부터 안정적인 접지설계를 반영하여야  완벽한 접지를 수행하며 아울러 고가의
첨단장비를 보호하고,인명사고를 방지하며, 효율적인 장비운용이 된다.

접지 종류

보안용 접지(강전용 접지)-인명과 설비의 안전을 목적으로 한다.
기능용 접지(약전용 접지)-전자.전기 장비나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용을 목적으로 한다.
형태별 접지-단독접지,공용접지
배전 접지  : 고압과 저압의 혼촉에 의해 발생하는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변압기 2차측(중성선)에
                  설치 한다.     주로 고압 수.변전설비시 시설한다.

기기 접지  :  일명 Frame 접지라 하며 기기의 외함,철가에 하는 접지를 말한다.
                  기기의 절연이 파괴되어 노출된 금속제로 전류가 흘러 감전되는 사고를 방지 하기
                  위함이다.

정전기 방지 접지 : 장비내에 축적된 정전기를 대지에 방전 시키지 못하면 기기에 내장된 IC나
                          UNIT에 장해 및 파손을 입힌다.
                          기기를 보호하고 안정적 장비 운용을 확보하기 위해서 정전기 방지용접지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Noise(잡음) 방지 접지: 전자장치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나 저주파 에너지의 영향을 받아 기기의
                                 오동작를 일으키는 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접지를 말한다.

등 전위(공용) 접지 : 현대 장비는 첨단의 IC를 사용하기에 서지전압이나 Noise 전압에도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장비나 시스템간의 전위차를 없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모든                             기기를 등 전위 구성 해야한다.
                            참고로 장비간 전위차가 발생하면 한쪽장비가 손상을 입을수 있다.
단독접지 : 각 접지공사별 접지저항치를 규정에 맞게 시설유지를 말한다.
               특히, 피뢰설비의 접지공사는 타 접지와 20M이상 이격 시설하여 타 기기와 전위차가
               발생 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참고 :  위의 모든 접지는 정확한 접지가 된 경우이며, 확실한 접지극 공사가 안된 상태에서는 상기
          내용의 접지를 한다 해도 실효가 없다.
          따라서 접지극,접지시스템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강조한다.
의료용 접지 : 한국산업안전 보건법에서 규정한 접지공사 시설기준을 참고한다.
피뢰 접지 : 낙뢰는 뇌운속에서 전하의 축적에 따라 그 바로 아래의 지표면에는 운저 전하와 역극성
                전하가 유기되므로 양자간 전계강도의 증가로 공기 절연 파괴 내력을 넘으면 양자
                사이에 불꽃 방전이 발생하고 이른바 낙뢰(대지 뇌격)가 발생한다.  
                이런 낙뢰로 부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피뢰침을 설치하는데 구성요소중 피뢰침(수
                뢰부),피뢰 인하도선,접지극으로 구성되는데 그중 접지극을 대지에 시설하는 접지설비
                를 피뢰접지라 한다.

회전구체법(Rolling Sphere Method) : 뇌전류 크기에 따른 보호범위를 3차원적 개념으로 해석한
                                                    것으로 뇌격거리로 보호범위를 설정한다.
뇌서지 보호설비: 내부에 설치된 첨단통신시스템,계측장비,컴퓨터등 약전설비는 낙뢰로 인한 뇌전
                        류나 뇌서지에 피해를 받기 쉬우므로 장비 및 인명의 보호와 안정적 장비운용을
                        위해서는 서지보호기(Surge Protector)나 TVVS(Transient VoltagesSuppression)
                        를 설치 해야한다.
                        GOON SYSTEM에서는 최신의 서지보호기와 TVVS(피뢰탄기반)를 설치한다..

 

접지 종류별 특성비교.   

PGS - BRP.PGS-ANT 접지의 장단점

PGS-BPR
PGS-ANT

단     점

장    점

적용장비

PGS공법
        
        
-BPR   
        
        
-ANT

1)BPR-I형(직선봉)   
시공시 천공장비 사용

2)BPR-L형 및 ANT형
은 천공장비 필요없음

 

1)온도,습도 등의 외부환
   경에 영향이 거의없음.

2)매우 안정적이며,보수
   및 재시공이 필요없음.        
3)수명이 길고,시간이 경
   과됨  
  (50년이상 수명유지)        
4)유지보수가 간단함.        
5)시공면적 및 공간이 좁
   은곳에 적합.               

6)피뢰접지, Noise 제거에
   적합 신속하고 안정적
   전류방출. 전위차 극
   소화.등전위 구성

1)고 신뢰성 및 정밀
  장비에 적합함.
 

2)매우낮은 안정적인
  접지저항이 요구되는
  곳에 적합함.

3)대지 저항률에 크게
 관계없이 적절한사용

   
4)컴퓨터,전산장비 정밀
   계측장비실.
   첨단 통신장비,유선
   이동전화교환.기지국.

 참고로  PGS -BPR/ANT형 접지공법은 PCS 광케이블 전송선로 지지선 접지나 기지국,중계기
접지에도 사용할 때 낙뢰,Noise방지및 기존 건물의 접지 보수 공사시 시간과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

일반접지봉(Driven Rod)의 장단점. 

접지봉

단     점

장     점

적용장비

일반접지봉

1)온도,습도,기후 등의
   외부환경,계절의 영향을
   크게받음

2)시공공간이 넓고 낮은
   접접지저항을 얻기어려움.

3)수명이 짧다(5년이내)

4)시간경과후 보수,
    재시공 필요함.    

1) 초기시공비가 저렴함.


2) 작업이 비교적단순함.


3)낮은 대지저항률에적합

1)4-5년이내 시 및
    보수 요함.
  
2)범용장비에 적용

 

망상(Mesh unding)의 장단점.

Mesh

단     점

장     점

적용장비

망상접지
 Mesh


1)초기시공비가 비쌈.       
2)높은대지저항률에 적합.   
3)넓은 시공장소가 필요함  
4)작업이 어려움.           

5)시간경과후 보수,재시공   보강이 필요함.
 

1)온도,습도기후 등의   외부환경에 영향적음.
 
2)수명이 비교적김.

 1)공장,대형빌딩,
   플랜트 등에 적합.
   및 보수 요함.

 2)유지보수가 불가능

  참고:신축 대형빌딩은 망상 접지와 PGS접지공법을 사용하면 안정적 접지시스템이 된다.
유.무선 교환국 및 기지국,중계소는 PGS공법을 사용하면 안정적 접지성능을 발휘한다  
첨단 전자장비 즉 전산실,계측장비,실험 연구소등에는 장소관계상 PGS공법이 적합함.

피뢰(P급)설비 접지극의 보수에는 PGS-BPR,ANT형을 권고한다.
도심의 작업공간이 좁고 Noise나 유도전류로 부터 영향 받기쉬운 전자 계측장비나 통신장비에는
PGS접지공법을 권합니다.
PGS공법은 IEEE, NEC, ITU-T(CCITT),IEC의 접지 기술 권고안과 규정에 적합하며, 동일한 접지시스템 이다.
시공시 유의 사항: 낮은 접지저항값이 잘나오지 않을시 변칙으로 불안정한 수도관이나, 가스관,휀스
등에 연결하는 접지 공사는 저항값는 나오지만 접지 역활은 하지못해 낙뢰나 서지전압, 노이즈발생,
유도전류 발생의 원인이 되며,위험을 초래한다.

 

전력접지 공사표

접지종형

접지저투지

접지공작물

접저선의  굵기

접지극

제1종

10Ω이하

접지모선 및 피뢰기
고압 및 특별고압기기의 철대,
금속제외함,
특별고압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전로, 방등회로가 고
300V를 넘는 저압이고
동작전류가 1A를 넘는 방전등
기구의 금속부분

14㎟이상

5.5㎜이상

접지극은
판형, 변형, 관형등의 동 또는
동피복 강제의 접지극을 사용한다

제2종

150/ΩI1 이하
I
1
은 1선지락전류.
 단, 측 또는
소요저항치를
전기공급자와
협의결정한다

 1상의 변압기합계용량                           5kVA이하

5.5㎟이상

  (100V의 경우)      10kVA이하

8㎟이상

         "               20kVA이하

14㎟이상

         "               40kVA이하

22㎟이상

         "               60kVA이하

38㎟이상

인입선  14㎟이하   인입구접지

5.5㎟이상

     "     38㎟이하         "

8㎟이상

     "   100㎟이하         "

14㎟이상

     "   250㎟이하         "

22㎟이상

     "   250㎟초과         "

38㎟이상

특별

제3종

10Ω이하

300V 넘는 저압용기기의
철대, 외함, 금속관공사의 고압옥측에 전선로의 관, 경질비닐공사에 의한 고압옥내배선의 금속제 풀복스등

제3종과 동

제3종

100Ω이하

저압전동기의 자기이외의 공철대, 배관등 설비로서 과부하차단기가

 

3.7 kW이하       50A이하

2.0㎟이상

7.5 kW이하      100A이하

5.5㎟이상

15 kW이하      200A이하

14㎟이상

37 kW이하      400A이하

22㎟이상

                600A이하

38㎟이상

 

통신접지 공사표

접지를 하는 기기

접지저투지

접지선굵기

비고

접지극

전화교환기
의 양극

2000회선이하

10 이하

14㎟이상

전화교환기의
통신용

접지극은 판형,
변형, 관형등의
동 또는 동피복 강제의 접지극을 사용한다

1000회선이하

 6 이하

1000회선초과

 4 이하

본배선관의 보호장치

10 이하

14㎟이상

 

인입선의 보안기, 안테나피뢰기,
확성용증폭기 현수선, 보호망,전원

100 이하

2.0㎟이상

보안용

소방직통M형발생기

50 이하

2.0㎟이상

 



공사별 접지공사 시공방법

 

일반사항

접지공사는 전기공사 중 중요한 공종이며 대부분 공사초기에 접지극 혹은 접지봉을 부설하여야 한다. 접지극이나 접지봉의 분류방법으로는 목적에 의한 분류, 시공법에 의한 분류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공사별 분류에 의한 접지공사 시공법이 다를 수 있다.접지공사의 주요자재는 접지봉, 접지판, 화학적 저감제, 접지선, 나동선, 접지단자함 등이 필요하며, 접지극 시공 후 규정된 접지 저항치를 측정하기 위한 접지 tester를 준비하여야 한다.

 

가. 접지극의 매설방법

 

1) 보통 지하 75㎝이하로 매설하나, 최하 동결방지층 이하로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지하 75㎝부터 2m이상 까지의 접지선은 합성수지관 또는 이와 동등한 절연효과와 세기를 갖는 전선관으로 보호하여야 한다.
3) 접지선은 절단될 우려가 없는 장소에 부설한다.
4) 접지극판은 일반적으로 수직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5) 복수의 접지극을 시설하는 경우 접지극 상호간을 2m이상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접지저항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점검이 용이한 곳에 접지단자함을 시설하는 것이 좋다.

접지극 매설 상세도

 

나. 접지극의 매설시기


접지 시공 시점은 토목공사의 오·배수 관로, 지역난방 및 도시가스 배관 등과의 시공시 마찰을 피하기 위하여 건축구조물 거푸집 제거 후 되메우기 전에 GL-3m 정도의 깊이에 먼저 시공함이 바람직하다.(수변전설비에 시공되는 접지는 모두 4개로서 표준 설계도의 유효간격을 유지하면서 정확히 시공하기 위하여는 18m×4m의 넓은 면적이 필요하다)

다. 매설 위치 및 방법
1) 매설 위치는 가능한 습기가 있는 장소로서 가스, 산 등에 의한 부식의 우려가 없어야 한다.
2) 접지선, 접지봉은 원칙적으로 유효간격을 유지하면서 표준도에 의거 시공하여야 하나, 지장물 등에 의하여 불가능할 경우 접지봉간의 거리를 2m 이상 유지하면서 일직선상에 다중접지한다.
라. 접지배관
1) 접지 배관을 GL 상부에 조인트 박스를 설치하고 조인트 박스를 거쳐 접지단자함에 이르도록 시공하여 배관을 통한 누수를 방지한다.
2) 접지선의 배관이 끝나는 부분에서 수절단자 처리하여 전선의 모세관 현상에 의한 누수를 방지한다.
마. 접지선 연결
자재의 부식에 따른 접지극의 수명단축을 예방하기 위하여 접지봉은 전선 일체형을 사용하되 일체형이 없을 경우 동봉과 접지선을 바인드선으로 묶고 납땜 처리하며(클램프 사용금지), 접지선 상호간의 연결은 동관 슬리브를 사용하거나 전선 접속방법에 의하여 접속한다.
바. 시험용 접지단자
1) 전기실 옥외에 설치되는 접지군으로부터 5∼10m 간격으로 L1, L2 단자를 설치한다.
2) 접지단자는 접지군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 접지단자함
접지단자 결선은 접지측은 하부, 피뢰침측은 상부에 결선하여 최단거리로 시공한다.
아. 접지저항 저감방법
아파트 단지가 고지대나 구릉지에 위치함에 따라 접지 저항치가 규정값 이하로 나오지 않는 지역을 대지 저항률이 1,000 Ω·m를 넘는 고저항률 지대라고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특별한 방법을 채택한다.

1) 접지방법 개선
① 접지봉의 수를 늘려 병렬 접지한다.
② 접지봉의 길이를 길게 한다.
③ 접지봉의 매설심도를 깊게 한다.
         2) 심타법의 사용
   소정의 접지저항치를 얻을 때까지 접지극을 깊이 박는 방법

         3) 망상(메시) 접지극 사용
         4) 저감제의 사용
      ① 벤토나이트
      ② 식염, 염화칼슘, 탄산소다
      ③ 유산마그네슘, 유산 등, 암염자. 사진촬영
접지공사는 터파기 후 작업관경, 접지봉 매설 및 결선 후 사진 촬영하여 보관한다.

    접지공사의 종류

      ■ 접지목적에 따른 분류

       1) 단독접지 공사: 접지공사의 종류별로 개별적인 접지방식

       2) 공용(등전위)접지공사: 모든 종류의 접지공사를 병렬로 연접하여 접지 사고시 전위상승을            억제하는  접지방식

      ■ 접지 시공법에 의한 분류

        1) 병렬접지 :

            접지봉 매설법 : 접지봉의 규격은 10Ø, 12Ø, 14Ø, 17Ø, 19Ø 등이 있으며 이는 접지 저항치는                 깊이 매설할수록 접지봉의 지름이 굵을수록 저감되며, 규정된 저항값이 나오지 않을 경우                 다수의 접지봉을 병렬로 연접하여 사용하는데 편리하다. 그러나 접지봉의 선단이   수분이
                많은 층에 닿으면 갑자기 접지 저항치가 저하하는 수가 있다.


           접지판 매설법 : 좁은 면적에서 원하는 접지 저항치를 얻는데 유리하고 접지봉보다 허용
           전류나 접지 저항치 등이 좋으며, 접지극을 병렬접속하여 사용하면 효과가 좋다. 단점으로는            터파기의 인력투입이 많아질 수 있다.

      
        2) 메쉬 공법 :

        3) 방사상 메쉬 공법 :

        4) 화학적 저감법

        5)  심타법

 

      ■ 공사별 분류

         구내 변전실의 접지공사:
         피뢰침 벌비의 접지공사:

         동력설비의 접지공사:
         가로등의 접지공사:
         맨홀의 접지공사:

         의료용 접지공사:
         통신용 접지공사:
  

 

접지 시스템유지관리  

공사가 완료된 접지시스템은 정기적인 점검과 관리가 수행되어야 한다
접지에는 많은 노이즈전류,서지전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접지극과 접지선을 부식하고
손상 시키고, 토양과의 전식반응 때문에 접지시스템이 손상된다.
컴퓨터,통신장비,계측장비가 손상된 접지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으면 강한 노이즈전류나 서지전류
에 의해 장비가 파손되고 안정적 장비운용에 방해가 된다.

특히 1980년대 이전 접지설비는 반드시 점검이 요구된다.
간단한 사전점검으로 고가의 장비와 인명을 보호하는 주의가 요구된다.


접지시스템의 유지관리 점검 항목 

항목/내용

점검 내용

점검 장비

확인사항

접지저항측정

정기적인 접지저항측정:
년2회접지전류 측정

접지저항측정기
전위차 측정   
클램프 온 측정
대지저항률측정기

멀티 측정기

IEEE,NEC ANSI

규격의 측정기

 

접지함관리

단자연결상태
접지선 연결상태

접지 배선

배선의 단락상태       
슬리브 접착상태       
배선 부식상태         
외부서지,노이즈유입경로

외부환경

건물/시스템 증설
외부환경 변화
접지체 제거/손상

운용시스템관리

운용시 문제점 기록 관리

 

컴퓨터 접지프로그램 사용한 접지시스템 설계.

1)대지저항률 분석
    4-점 웨너법(4-Point Wenner Method)에 의해 측정된 대지저항률 데이터를 컴퓨터     
    분석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정확한 토양의 지질구조를 분석한다.

    1)수평다층 지질구조 2)수직다층 지질구조  3)지수함수형 지질구조 4)타원형의 지질구조
 

2)접지전극 설계 시뮬레이션
     1)토양에 접촉하는 접지전극을 세분화 하여 접지저항을 계산.
     2)접지 전극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접지저항 계산.
     3)세분화된 접지전극의 누설전류를 계산.
     4)전체 접지전극을 통한 대지전위 경도의 분포 계산.
     5)접촉전압,보폭전압 특성을 계산.
     6)현장과 거의 유사한 환경을 통한 접지설계가 가능.
     7)설계 및 시공오류를 최소화 하여 비용과 시간의 낭비를 최소화 한다.
 

3)PGS(군시스템의 Perfact unding System)의 PGS-BRP,PGS-ANT 접지극 안내.
     1) 국내 유일의 무공해 습기생성 발생 접지시스템(PGS-BPR공법).
     2)완전한 자체 수분 흡수 및 유지 시스템.
     3)가을,겨울등 건조한 기후에도 관계없는 고안정성 접지성능 유지.
     4)접지봉(기존 동봉) 10개이상의 절감 효과와 7배이상의 긴 수명.
     5)시간이 경과 할수록 접지저항 감소로 성능 향상됨.
     6)확실한 성능의 접지효과로 특히 통신,전사, 계측장비 접지로 Noise감소,우수한 통화 품질.
     7)안전하고 우수한 피뢰접지(Lightning Protection),낙뢰서지 방지에 효과적이다.
     8)좁은 도심의 공간에서도 안정적인 접지저항 확보한다.
     9)접지수명 50년 이상으로 관리비가 저렴하다.
   10)접지극을 통한 신속한 서지전류,노이즈 전류방출,접지선 전위차 극소화 하여 등 전위구성
 

4)일반 접지봉 시공방법.
     1) 시공위치 폭 50cm , 깊이 75cm 이상 터파기하고, 2)일반봉을 햄머로 때려 박음.
     3) 접지봉의 간격은 접지봉 길이의 2배이상 이격한다.
     4) 봉과봉을 나동선 이용한 압착슬리브접속함.5)외부접지선(GV)을 나동선과 접속함.
     6)시공위치 되메우고 마무리 한후 7)접지저항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5)일반 접지봉의 문제점.
     대지의 토양과 직접접촉하여 자연부식하고,접지봉통한 접지전류로 인한 화학적 전기   
     분해 반응으로 접지봉 손상된다. 이로인해 접지봉은 4-5년내 완전 파손(접지기능상실).

   
건물구조체 대용접지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 건축물의 지하부 하층 구조를 접지전극의 일부로 활용 하는   
것은 미국의 "H.G. Ufer"가 제창하였고 Ufer전극접지,Ufer Electrode"라 한다.

Ufer전극접지의 문제점은 접지도선에 많은 노이즈 전류와 서지전류가 유입되고 ,방전되는
과정에서 철골 구조체의 하부에 전식의 발생이 심화되며, 서지전류로 콘크리트의 균열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과 안전성 문제가 제기된다.

건축물 하부에 안정한 접지시스템을 시공 구축하고 철골 구조체 접지전극의 효과는 안전과
접지저항의 여유분으로 활용 하는 것이 건물내부의 인명과 시설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 올바른 접지방식이라 생각한다. 이와 같이 철골.철근 구조체 접지를 공용하면     
건물 전체를 등 전위 구성 하는데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전기상식모음 > 전기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제 현장에서 차단기 용량 및 전선 굵기 선정하기  (0) 2019.12.28
누전차단기  (0) 2009.06.27
전기상식  (0) 2009.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