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신전자와함께에너지절감을../견적의뢰및 궁금사항질문

[스크랩] 평당얼마예요?

기쁘리 2009. 2. 12. 12:13
 

평당 얼마예요 ?


집은 상품으로 찍어낸 완제품이 아니다. 저가, 중가, 고가 상품을 진열하고 이것은 얼마, 또 이것은 얼마 하는 식으로 나눌 수 없는 것이 주문주택이다. 흔히 아파트를 분양하면서 평당 가격이 얼마라는 식으로 선전되어 온 결과가 모든 집을 평당 얼마짜리로 생각게 하는 소비자 생각을 고착시켰다.


주문주택은 그야말로 주문자 생산방식이다. 완성품을 사는 게 아니라 주문하는 것이라면 주문자의 요구가 반영되어 그 가격을 정하게 되는 것이다.


건축물의 기초방식은 어떻게 할 것인지, 골조는 무엇(콘크리트, 서구 목조, 스틸, 일반 조적, 한옥 목구조)으로 할 것인지, 지붕방식(슬라브, 목조 트러스, 스틸, 한옥 서까래)은, 또, 지붕재(아스팔트 슁글, 한식기와, 금속기와, 너와)는, 그리고 내부와 외부의 마감은 어떻게 하고, 천장과 벽, 바닥은 무엇으로 마감하며, 싱크대 등의 가구는, 난방은 무엇으로 할 것인지가 하나 하나 정해져야 건축비가 산출되는 것이다.


지금도 농촌에서는 주변의 아는 사람을 통해 농가주택을 지을 때면 세부적인 건축 사양을 정하지 않고 “평당 얼마로 지어요”하는 방식이 통용되기도 한다. 그러면 반드시 집을 지은 후 분쟁이 생긴다


시공자는 더 많은 이윤을 얻으려고 자재와 품을 줄일 것이고, 건축주는 당연히 더 좋은 제품을 원하게 된다. 그렇게 되어 집을 짓고 나면 서로 원수가 되는 일이 허다한 것이다.


평당 얼마짜리의 건축비 계산 방식으론 건축주와 시공자 모두 서로 나쁜 사람이 되기 일쑤이다. 건축주는 “남들은 그 가격에 지었는데 무엇도 해주고, 무엇도 해 주었다는데.....” 하면 시공자는 “평당 얼마짜리의 집이 그렇지 뭘 더 바라느냐” 하게 될 것이다.

 

 또 시공자는 건축주 잘못 만나 “얼마를 손해봤니......”하는 이야기를 수없이 하게 될 것이다. 이런 이해관계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결국 집은 망가지고 인간관계는 깨진다. 집 짓다가 머리가 하얗게 새었다는 속설이 남의 일이 아닌 것이다.


우선 건축비 평당계산법을 버려야 한다. 내가 짓고자 하는 집의 규모, 구조, 마감재 사양 등을 대략 정한 후 그 집을 완성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시공회사(시공자)와 상담에 들어가는 것이 좋다.


꼭 상담을 했다고 해서 그 회사, 그 사람에게 집을 지어야 한다는 법은 없다. 일생에 단 한번 있을 법한 일을 하는데 서로의 성격은 맞는지, 전문적인 기술인력을 가지고 있는지, 그 회사가 지은 집들을 방문하여 미리 점검하는 일 등등 궁합을 맞춰본 후 결정하면 되는 일이다.


그 다음 일은 건축 설계와 세부적인 건축 사양(마감 자재)을 정하고, 그에 따른 건축비를 산출하여 공사계약에 이르는 것이다.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시공과정을 건축주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세부 시방서를 갖추어 달라고 요구하면 된다. 건축 사양과 세부 시공방식이 정해졌다면 건축주와 시공자는 합의된 순서에 따라 성실히 계약을 이행하면 된다.

 

정확한 최소 표준 방식의 공사도급계약서와 공사전체에 대한 원가계산서(견적서)--예를 들어 외부벽체가 몇 M2이고 M당 자재비가 얼마에 M당 시공인건비가 얼마 이렇게 상세한---

와 세부시방서와 소비자 지침서인 체크리스트등을 갖추어 계약하면 된다.

 

“평당 얼마예요?”라고 묻지 말자. “나는 이런 집을 이렇게 짓고 싶습니다. 지으려고 하는 곳은 어디이고, 내가 가진 돈은 얼마입니다. 귀사와 상담을 하고 싶은데 용의가 있습니까?”라고 물으면 된다. 그렇게 해서 진정한 파트너를 구하는 일, 집짓기의 기본이다


괜찮아 까딱없어, 빨리 빨리의 현장문화  


현장을 움직이는 현장 장악력, 시공 과정 하나 하나를 꿰뚫을 수 있는 전문가적 눈이 있어야만 제대로 된 건축물이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그것은 또한 건축현장의 관행과 싸워 이겨야 하는 일이었다.


현장에서의 가장 큰 벽은 ‘노가다’ 건축문화였다. 현장 일을 책임지는 시공이사나 현장 소장, 각 공정 책임자(현장 용어로 ‘오야지’-대장)들 모두는 하나같이 “괜찮아요, 까닥 없어요....”를 입에 달고 살았다. 


조금만 신경 쓰면 되는 일들인데 뭔가 잘못되었다고 지적하면 “괜찮아요”라고 말한다. 그래도 이렇게 바꾸자고 말하면 “다 그렇게 해요, 까딱없어요”한다. 처음엔 그 말을 이길 수 없었다. 내가 고집을 부리면 금새 얼굴색이 변하면서 망치라도 집어던질 형국이었다. 난감했다.  


나는 괜찮지 않은데, 건축주도 분명히 괜찮지 않을 것인데....., 왜 일꾼들은 괜찮다고 할까? 왜 고치는 것을 두려워하고 귀찮아할까? 그 이면엔 ‘빨리 빨리’의 현장문화가 도사리고 있었다. 꼼꼼히 일하는 것은 현장에서 그리 중요하지 않다. 그것은 건축회사와 건축주에게 중요한 일이지 현장의 일꾼들은 어떻게 하면 일을 빨리 끝내는가가 더 중요하다.


각 공정별로 평당 얼마라는 도급 금액이 주어지고, 그 일을 맡은 책임자는 품을 하나라도 줄여야지 자신의 이익이 커진다. 일을 빨리 끝내는 사람이 최고인 것이다.


거기에다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토를 다니 현장의 일꾼들은 자기 공정 책임자의 눈치를 보고, 그러니 괜찮다고, 까딱없다고 우기게 된다. 우스운 말로 일당 처리를 하게 될 경우는 또 반대 현상이 일어난다. 이일 저일 일을 늘려 품을 늘려 가는 방식이다. 또 하나는 현장의 일이 힘드니 술을 달고 살았다. 술김에 일을 하다보니 사소한 마찰도 금새 싸움판이 되고 만다. 이게 바로 ‘노가다 문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가장 싫어하는 말들 중에 하나가 ‘노가다’라는 말이다. 막노동꾼이라는 의미를 담은 ‘노가다’라는 이 말은 사회적으로는 밑바닥 인생을, 본인에게는 자긍심을 빼앗아 버리는 결과를 만들었다. 나 스스로 ‘노가다 문화’라고 칭한 이러한 풍토가 바뀌어지지 않는 한 세워지는 모든 건축물은 이미 부실을 떠 안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부정적 현장풍토가 만들어진 근본적 배경엔 건축업계의 잘못된 역사가 자리잡고 있다. 물량위주의 성과주의가 판치는 국가정책, 줄 잘 대서 오다 따고 하도급에 또 하도급으로 넘기는 업계의 관행, 소규모 건축업자들의 집장사 집들 이 모두가 현장 일꾼들을 빨리 빨리로 내몰고 ‘괜찮아, 까딱없어’로 밀어 붙였다.

 

70년대를 거처 80년대 급격한 신업사회로의 진입으로 주택의 대량수요로 인한 빨리빨리 관행이 그리고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것 등으로 빗어진 결과라 본다.


그나마 경량목조건축과 통나무 공법과 스틸하우스공법등은 국내보급이 구미에서 지내든 아님 유학을 가서 이것이다 해서 배워온 분들과 초기 도입시는 전량을 팩키지로 집 한동분이 콘테이너로 못하나까지 모두 들어와서 카나다등에서 온 목수들과 함께 집을 짓고는 하였던 관계로 이런류의 건축들이 빌더,카펜더또는 프라이머등으로 불리고 현재에도 오야지라 않하고 팀장이라 불리고있다.


‘괜찮아, 까딱없어...... 빨리빨리 해’가 아니라 ‘그래요, 이렇게 한 번 해 볼까요, 꼼꼼히 점검해 볼께요’라는 태도변화는 현장의 문화를 일방적인 것이 아닌 건축주와 시공회사, 현장 일꾼들 모두의 공동 작업으로 변화시켜 갈 것이다. 

 

각 현장에서 팀장이 그날 일이 끝난후 다음날 작업에 대한 간단한 브리핑과 현장도착날 아침에 작업시작전 각자 어떤 어떤 일을 해야 할지 분배와 그리고 골조나.지붕골조 기타 무슨작업이든 이렇게 진행하려 하는되 각 의견을 참고해서 서로가 아 이집은 우리가 함께 짓는것이라는 마음이 들도록하고 현장에서의 작업중에 저속한 말이나 음주.그리고 저녁시간에 화투나 카드등은 모든 현장에서 근절 되어야 할것이다.

 

각자가 그 일에 뛰어 들었을때는 초심을 버리지 말고 자신이 하는일에 자긍심을 가지고 내집 우리부모,형제가 살집이고 자신의 집이라는 생각으로 늘 최고가 아닌 최선을 다하고 서로 대화,토론하며 늘 보다 나은 점을 찿고 연구 노력하는 자세로 임해야 할것이다.

 

좋은 양식있는 설계자와 시공자를 만남이 바른 건축에 시작이라봅니다.전반을 오픈해서 함께 만들고 함께 지어나간다는 창조의 역활을 수행한다는 자긍심으로 ....

출처 : 농목수의 목조건축 이야기
글쓴이 : 농목수-윤세웅 원글보기
메모 :